본문 바로가기

■ 프로그래밍/프로그래머스

[자바스크립트/Lv.1] K번째수

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748

 

[문제]

더보기

문제 설명
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

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

  1.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
  2.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
  3.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

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  •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  •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.
  •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.

입출력 예

array commands return
[1, 5, 2, 6, 3, 7, 4] [[2, 5, 3], [4, 4, 1], [1, 7, 3]] [5, 6, 3]

입출력 예 설명

[1, 5, 2, 6, 3, 7, 4]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2, 3, 5, 6]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6]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. [1, 2, 3, 4, 5, 6, 7]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.

출처

 

[풀이]

2020.03.22

function solution(array, commands) {
    var preAnswer = [];
    var answer = [];
    
    for (var i = 0; i < commands.length; i++) {
        var k = commands[i][2]-1;
        preAnswer = array.slice(commands[i][0]-1, commands[i][1]).sort((a,b)=>{return a-b});
        // console.log(preAnswer);
        // console.log(preAnswer[k]);
        answer.push(preAnswer[k]);
    }
    return answer;
}

사실 필자는 처음 .sort()안에 (a,b) => { return a-b }를 빼고 제출했다. 

다 맞지만 테스트2만 통과가 되지 않아 제출이 되지 않았다. 

이는 sort 메소드가 배열 안에 있는 숫자를 문자로 인식하여 정렬하기 때문에 순서가 엇갈린 것이다. 

 

아래 예시를 보자.

[1,10,105,41,95].sort();

// output: (5) [1, 10, 105, 41, 95]

분명 105가 제일 크기 때문에 맨 뒤에 있어야 하지만, 10 다음으로 인지하고 있다. 

따라서 컴퓨터에게 우리가 생각하는 오름차순을 원한다면, 배열 안의 숫자들을 다시 비교해 줄 필요가 있다. 

(참고: MDN sort 문서)

 

.sort 안의 코드는 아래처럼 풀어 쓸 수 있다. 

arr.sort( function (a, b) {
	return a - b;
})

// sort안의 함수는 compare 함수라 불린다. 
// 더 상세히 풀어 쓰자면 아래와 같다.

function compare(a, b) {
    if (a - b < 0) {
    // 0보다 작을 경우 a를 b보다 낮은 인덱스로 보아 a가 먼저 옴
    	return -1;
    }
    if (a - b > 0) {
    // 0보다 클 경우 b를 a보다 낮은 인덱스로 보아 b가 먼저 옴
    	return 1;
    }
    // a === b
    return 0;
}

따라서 [1,10,105,41,95].sort((a,b)=>{return a-b});의 경우, 105가 41, 95보다 큰 숫자이기 때문에 더 높은 인덱스로 가는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