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목Ⅲ. 데이터 분석 기획
제2장. 분석 마스터 플랜
제1절 마스터 플랜 수립
1. 마스터 플랜 수립 개요
◆우선순위 고려 요소
- 전략적 중요도, 비즈니스 성과/ROI, 실행 용이성 → 적용 우선 순위 설정
◆적용 범위/방식 고려 요소
- 업무 내재화 적용 수준, 분석 데이터 적용 수준(내외부), 기술 적용 수준 → 분석 구현 로드맵 수립
2. 우선 순위 평가
◆우선순위 평가: 정의된 데이터 과제에 대한 실행 순서를 정하는 것
- 업무 영역별 도출된 분석과제를 우선순위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+적용 순위 조정(과제 선수행 관계 고려) → 최종확정
- 기업에서 고려하는 중요 가치 기준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의 우선순위 기준 수립하여 평가
◆ROI 관점 빅데이터의 핵심 특성
- 투자비용 측면 요소(ROI관점): 3V
- 비즈니스 효과 측면 요소: 3V+Value
◆데이터 분석 과제 추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우선순위 평가 기준
- 시급성: 전략적 중요도(핵심), 분석과제 목표가치(KPI) 함께 고려하여 판단
- 난이도: 데이터 생성, 저장, 가공, 분석하는 비용 & 기업 분석 수준 고려 데이터 분석 적합성 여부, 해당기업의 상황에 따라 조율 가능
◆포트폴리오 사분면 분석을 통한 과제 우선순위 선정 기법
- 시급성 기준: 3-4-2, 난이도 기준: 3-1-2
- 시급성, 난이도가 높은 1사분면: 경영진 또는 실무 담당자의 의사결정에 따라 적용 우선순위 조정 가능
- 기술적 요소, 분석 범위에 따라서도 분석과제 적용 우선순위 조정 가능
3. 이행계획 수립
◆단계적 구현 로드맵 수립
- 분석과제에 대한 포트폴리오 사분면 분석으로 1차적 우선순위 결정 → 분석 과제별 적용 범위 방식 고려해 우선순위 결정, 단계적 구현 로드맵 수립 → 단계별 추진 목표 정의 → 추진 과제별 선후행 관계 고려하여 단계별 추진 내용 정렬
◆단계적 구현 로드맵 수립 추진 3단계
Step 1: 데이터 분석 체계 도입(분석 기회 발굴 및 분석과제 정의, 마스터 플랜 수립)
Step 2: 데이터 분석 유효성 검증(분석 알고리즘 및 아키텍처 설계, 분석 과제 pilot 수행)
Step 3: 데이터 분석 확산 및 고도화 (업무 프로세스 내재화율을 위한 process innovation, 변화 관리 / 빅데이터 분석 활용 시스템 구축, 유관 시스템 고도화)
◆세부 이행 계획 수립
- 기존: 폭포수 모델
- 반복적인 분석 체계: 데이터 수집/확보 > 데이터 준비>분석 모델 설계>적용>평가>설계 ~ 반복 ~ > 개발
준비된 데이터를 통해 모델 적용 & 적용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 반복
- 분석 구현일정: 반복 정련과정을 고려해 수립하고 최종적으로 세부 일정계획 수립
제2절 분석 거버넌스 체계
1. 거버넌스 체계 개요
◆데이터 분석과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의 중요성으로 필요
- 지속적 분석 고도화, 분석과제 추가발굴 등 기업 문화로 정착, 안정적으로 분석 운영에 필요
◆기업의 현 분석 수준을 정확히 진단, 분석 조직 / 분석 전문인력 배치, 분석 관련 프로세스 / 분석 교육 등의 관점에서 정의 가능
◆분석의 지속적 개선/개발, 확산 및 서비스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성
- COA(Center Of Analysis): 분석조직, 분석 수준진단, 분석교육, 분석 개발 확산/평가 프로세스, 분석 전문 인력
2. 데이터 분석 수준 진단
◆데이터 분석 수준진단을 통해 데이터 분석기간 구현을 위한 준비, 보완 등 분석의 유형 및 분석의 방향성 결정
◆진단 방법 2가지: 분석 준비도, 분석 성숙도
◆데이터 분석 수준 진단 궁긍적 목표 2가지
- 현재 분석 수준을 이해하고 수준진단 결과를 토대로 미래 목표수준 정의
-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반 또는 환경이 어느 수준이고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어떤 영역에 선택과 집중을 해야하는지, 어떤 관점을 보완해야 하는지 등 개선상안 도출 가능
◆분석 수준 진단 프레임워크
- 6개 분석 준비도 + 3개의 성숙도
1) 분석 준비도(readiness): 데이터 분석 도입의 수준을 파악을 위한 진단방법
분석 업무
|
분석 인력 및 조직
|
분석 기법
| |
발생한 사실 분석 업무 예측 분석 업무 시뮬레이션 분석 업무 최적화 분석 업무 분석 업무 정기적 개선 |
분석 전문가 직무 존재 전문가 교육훈련 프로그램 관리자 기본분석 능력 전사 총괄 조직 경영진 분석 업무 이해 |
업무별 적합한 분석 기법 분석 업무 도입 방법론 분석기법 라이브러리 분석기법 효과성 평가 분석기법 정기적 개선 | |
분석 데이터
|
분석 문화
|
분석 인프라
| |
분석업무를 위한 데이터 충분성/신뢰성/적시성 비구고적 데이터 관리 외부 데이터 활용 체계 기준 데이터 관리(MDM) |
사실에 근거한 의사결정 관리자의 데이터 중심 회의 등에서 데이터 활용 직관보다 데이터 활용 데이터 공유 및 협업 문화 |
운영 시스템 데이터 통합 EAI, ETL 등 데이터 유통체계 분석 전용 서버 및 스토리지 분석 환경(빅데이터/통계/비쥬얼) |
2) 분석 성숙도 모델
◆데이터 시대는 분석 능력 및 분석결과 활용에 대한 조직의 성숙도 수준 평가해 현재 상태 점검(평가도구: CMMI)
- 분석 수준은 성숙 단계에 따라 점차 진화
단계
|
도입
|
활용
|
확산
|
최적화
| |
설명
|
분석 시장, 환경과 시스템 구축 |
분석 결과를 업무 적용 |
전사차원에서 분석 관리 및 공유 |
분석을 진화시켜 혁신 및 성과향상에 기여 | |
비즈니스
|
실적 분석 및 통계 정기보고 수행 운영 데이터 기반 |
미래 결과 예측 시뮬레이션 운영 데이터 기반 |
전사성과 실시간 분석 프로세스 혁신 3.0 분석규칙 관리 이벤트 관리 |
외부환경 분석 활용 최적화 업무 적용 실시간 분석 비즈니스 모델 진화 | |
조직 역량
|
일부부서에서 수행 담당자 역량 의존 |
전문 담당부서 수행 분석기법 도입 관리자가 분석 수행 |
전사 모든 부서 수행 분석 CEO 운영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|
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경영진 분석 활용 전략 연계 | |
IT
|
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마트 ETL/EAI OLAP |
실시간 대시보드 통계분석 환경 |
빅데이터 관리 환경 시뮬레이션 최적화 비쥬얼 분석 분석 전용 서버 |
분석 협업 환경 분석 sandbox 프로세스 내재화 빅데이터 분석 |
3) 분석 수준 집단 결과
◆분석 준비도와 성숙도 진단 결과로 기업의 현재 분석 수준을 객관적 파악 가능
◆유관 업종, 경쟁사와 비교하여 분석 경쟁력 확보 강화를 위한 목표수준 설정
◆분석 관점에서의 사분면 분석: 데이터 분석 수준에 대한 목표 방향 정의 & 유형별 특성에 따라 개선방안 수립
준비형: 데이터 조직 및 인력, 분석업무, 분석 기법 적용 안됨. 사전준비 필요
정착형: 조직 및 인력, 분석업무, 분석기법 제한적 사용 / 우선적으로 분석의 정착이 필요
도입형: 조직 및 인력 등 준비도 높음, 분석업무 및 기법 부족 / 데이터 분석을 바로 도입할 수 있음
확산형: 6가지 분석 구성요소 모두 갖춤 / 지속적 확산이 가능한 기업
3. 분석지원 인프라 방안 수립
◆분석 시스템 구축 시 관리의 복잡도 비용 증가 발생
◆분석 마스터 플랜 기획부터 장기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구조 도입
◆플랫폼
- 분석 서비스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기초 컴퓨터 시스템
- 분석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환경과 실행, 서비스 환경 제공
4.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수립
◆데이터 거버넌스
-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된 관리 체계를 수립하고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및 저장소를 구축하는 것
- 중요 관리 대상: 마스터 데이터, 메타 데이터, 데이터 사전
- 데이터 가용성 유용성 통합성 보안성 안전성 확보
- 구성요소: 원칙, 조직, 프로세스
5. 데이터 분석 조직 및 인력방안 수립
◆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 활용하기 위한 기획, 운영 및 관리 전담 전문 분석 조직 필요(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 수단)
◆분석 조직 개요
- 목표: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비즈니스 질문과 이에 부합하는 가치를 찾고 비즈니스 최적화
- 역할: 전사/부서의 분석업무 발굴 & 전문적 기법과 분석도구 활용하여 기업 내 빅데이터 속 insight 발견, 전파, action화
- 구성: 지식(기초 통계학, 분석방법)과 분석경험을 가진 인력 또는 부서 내 조직으로 구성
◆분석 조직 구조 3가지 유형
집중형 |
기능형
|
분산형
| |
분석업무를 별도 분석 조직이 담당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 정해 진행 현업 부서와 이원화/이중화 가능성 높음 |
일반적 분석 수행 구조 별도 조직 없이 해당 분서에서 분석 수행 전사적 핵심 분석이 어려움 과거실적에 국한된 분석 수행 |
분석조직인력을 현업부서로 배치 전사차원의 우선순위 수행 분석결과에 따른 신속한 action 베스트프랙티스 공유 가능 분석업무와 역할분담 명확화 필요 |
◆분석 조직 인력 구성: 각 분야의 인재들을 모아 조직 구성이 바람직
- 비즈니스, IT, 분석 전문, 변화관리(겸직가능), 교육담당 인력(겸직 가능)
6. 분석 교육 및 변화관리
◆기업 내 모든 직원이 분석, 업무 활용을 위한 분석문화 정착을 위한 변화
◆기업에 맞는 적합한 분석업무 도출
◆분석 조직 및 인력에 대한 지속적 교육과 훈련 실시
◆경영층이 사실 기반 의사결정 할 수 있는 문화 정착
◆분석 교육의 목표: 분석 역량을 확보하고 강화하는 것
- 분석기획자: 분석 큐레이션 교육
- 분석실무자: 데이터 분석기법 및 퉁
- 업무수행자: 분석기회 발굴, 구체화, 시나리오 작성법
◆분석적 사고를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을 통해 조직 구성원 모두에게 분석 기반의 업무를 정착시켜야 함
◆데이터를 바라보는 관점, 데이터 분석과 활용 등이 기업 문화로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확대되어야 함
*출처: '데이터 분석 전문가 가이드, 한국데이터진흥원'
'□ AD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DsP - 4과목] 제2장 통계 분석: (1) 통계학 개론 (0) | 2019.02.06 |
---|---|
[ADsP - 4과목] 제1장 R 기초와 데이터마트 (0) | 2019.02.06 |
[ADsP - 3과목] 제1장 데이터 분석 기획의 이해 -2 (0) | 2018.09.07 |
[ADsP - 3과목] 제1장 데이터 분석 기획의 이해 -1 (0) | 2018.09.07 |
[ADsP - 1과목] 제3장 가치 창조를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와 전략 인사이트 (0) | 2018.09.04 |